단군신화

단군신화

설화 中 신화


<출전> 『삼국유사』

작 품 감 상



옛날에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몹시 바랐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을 내려다 보며 인간 세계를 널리 이롭게할 만한지라 천부인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무리 3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기의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서 이곳을 신시라고 불렀다. 그는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을 주관하고, 인간의 삼백예순 가지나 되는 일을 주관하여 인간 세계를 다스려 교화시켰다.
이때 곰과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 살았는데 늘 환웅에게 사람되기를 빌었다. 환웅이 곰과 범에게 쑥과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곰은 몸을 삼간 지 삼칠일(21일)만에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능히 삼가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는 그와 혼인을 할 상대가 없었으므로 항상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 배기를 빌었다. 환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어 아들을 낳았다.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단군은 요 임금이 왕위에 오른지 50년인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불렀다. 또다시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에 옮겼다. 그곳을 궁홀산 또는 금미달이라 한다. 그는 1천 5백 년 동안 여기에서 나라를 다스렸다. 주의 무왕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에 기자를 조선에 봉하매, 단군은 장당경으로 옮겼다가 후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이 되었는데 그때 나이가 1,908세였다.

작 품 정 리



주제

민족 시조인 단군의 탄생과 고조선의 건국

작자

미상(일연의 '삼국유사'에 수록)

내용 요약

풍백, 우사, 운사를 데리고 홍익인간의 이념을 펼치기 위해 인간 세계에 내려온 선계인.

심 화 감 상



곰과 범이 사람이 되고자 했다? - 토템 신앙 부족의 규합

곰과 범을 토템신앙으로 모시는 부족이 규합하고자 하나, 하늘 부족은 곰 부족을 선택하였음을 의미

설화의 특징

신화, 전설, 민담

신화 전설 민담
미적범주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
총체성 신성성 / 인간의 질서 조화
신화적 총체성
신성성 / 인간의 질서 분열
총체성 분열
신성성 / 인간의 질서 분열
총체성 분열
전승자(화자)의 태도 '신성하다'고 믿음 '진실하다'고 믿음 '흥미롭다'고 믿음
시간과 장소 일상적 경험을 넘어선 아득한 옛날, 신성한 장소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 설정, 증거물 존재 뚜렷한 시간과 장소가 없음
증거물 포괄적
(우주, 국가 등)
개별적, 보편적
(바위, 개울 등)
보편적
주인공과 그 행위
초능력 발휘
영웅의 성취
비범한 인간
비극적 결말
운명 앞에서 좌절당하는 영웅의 비극
평범한 인간
운명 개척
민중적 인물의 성취
(능력이 모자라며 결점이 많은 인물에 지나지 않지만, 늘 초월자의 도움을 받아 시련 극복)
전승 범위 민족적 범위 지역적 범위 세계적 범위
자아와 세계 자아 = 세계
(동질성 시대)
자아 < 세계
(자아의 좌절)
자아 > 세계
(자아의 우위)
작품 단군 신화
주몽 신화
해명태자 이야기
아기장수 전설
서동
온달 이야기
전망 과거 지향적 전망 과거 지향적 전망 과거 지향적 전망